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기자, 정치부 이세진 기자 나와있습니다. <br> <br>Q1. 정점식 의장, 결국 사퇴했네요. 한동훈 대표 취임 후 처음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겪었어요? <br><br>네, 사실 정책위의장이나 정점식 의원 자체가 논란의 핵심은 아니었죠. <br> <br>용산 대통령실과 한동훈 대표 체제 사이 처음으로 이견이 발생했고, 그 갈등이 어떻게 매듭되느냐가 핵심이었습니다. <br> <br>저희 취재를 종합해보면 대놓고 말은 안 해도 대통령실 속내는 확실히 '찐윤' 정점식 정책위의장 유임에 찍혀있었습니다. <br> <br>한 대표는 '새 술은 새 부대에 담는 게 맞다'며 교체에 무게를 실었었죠.<br> <br>양쪽 다 서로의 뜻을 명확하게 알고 있는 상황 속에서 며칠 동안 정리가 안 되다가, 결국 정점식 정책위의장 사퇴로 마무리가 된 겁니다. <br> <br>Q2. 한동훈 대표, 이번 판에서는 이긴 건가요? <br><br>결과만 보면, 그런 셈이죠. <br> <br>한동훈 대표, 어제부터 행동에 나섰습니다. <br><br>사무총장을 통해 '일괄 사표내라' 주문하더니 오늘은 직접 나서서 공개적으로 '변화 민심'에 따르는 인사를 하겠다고, 교체할거라고 대놓고 압박했죠. <br> <br>오늘 아침까지 버티던 정 정책위의장은 두 시간 만에 자진 사퇴했고요. <br><br>일부 친윤 의원들, "정 정책위의장, 버텨야 한다" "의원총회에서 충돌 예상된다"고 했었는데, 이런 일촉즉발의 상황은 일단 잠재워진 상황입니다. <br> <br>Q3. 그런데 한 대표도 무작정 밀어붙이진 않은 거 같아요. 그렇죠? <br><br>네, 오늘 한 대표, 교체 의사를 밝히면서도 정 정책위의장을 상당히 예우하는 모습이었습니다. <br> <br>[한동훈 / 국민의힘 대표] <br>"정점식 정책위의장 같은 분들은 저를 포함해서 누구나 함께 일하고 싶은 인품과 능력을 가진 분이시죠." <br><br>게다가 한 대표 측, 행여 찍어누르기 하는 모습으로 보여질까 정 의장을 콕 집지 않고 "당직 일괄 사퇴"로 우회 압박한 것도 배려한 거라고 하는데요. <br> <br>한 대표가 어제 정 의장을 따로 불러서 "새 의장과 일하고 싶다"고 완곡하게 요청하기도 했고요. <br> <br>한 대표 측 새로운 정책위의장을 임명하는 형태로 밀어붙일 수도 있으나 그런 과격한 방식은 피하고 싶었다고 하더라고요. <br> <br>Q3. 여튼 한 대표 이후 첫 충돌 정면 충돌은 피한 거네요. <br><br>네, 그렇습니다. <br> <br>이번 사태를 통해 명확하게 알 수 있는 건 용산과 한동훈 대표 모두 정면 출돌까지 가면 안 된다는 데는 서로 동의하는 겁니다. <br> <br>아슬아슬하긴 했는데, '선'을 지킨 거죠. <br> <br>엊그제 회동때였죠, "당 대표 알아서 하라"는 윤 대통령과 "정부 성공 위해 정책 서포트 하겠다"는 한 대표의 대화, 이게 중요해보이는데요. <br> <br>당무는 당 대표가 전권을 갖게 하고, 정부 일은 여당 대표가 또 도와주는 역할을 명확히 하고, 이제 '다음단계로 넘어가자', 이렇게 된 겁니다. <br> <br>Q4. 자 그럼 이번 위기는 넘겼습니다, 인선은 이제 대표가 거리김 없이 쭉쭉 발표할 것 같아요. 이젠 평안할까요? <br><br>일단 서로 넘지 말아야 할 선은 확인을 했다고 말씀드렸죠. <br> <br>하지만 이번 갈등 내심은 힘겨루기 성격도 있었습니다.<br><br>당 주인은 이제 우리라는 한동훈 대표 측과, 한 대표 마음대로 하게 두지 않겠다는 친윤 측이요. <br> <br>앞으로 채상병 특검법부터 여러 이슈가 많이 있겠죠.<br><br>대통령실과 한 대표, 맞닥뜨릴 각종 이슈에서 이번처럼 선을 넘지 않고 정리할 수 있을지가 관건입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아는기자, 정치부 이세진 기자였습니다.<br /><br /><br />이세진 기자 jinlee@ichannela.com